전체 글 썸네일형 리스트형 다이나믹 프로그래밍 백준 1149번 알고리즘에 관련된 첫 글입니다. 시작은 알고리즘 대회나 알고리즘 사이트에서 많이 나오는 단골 유형중에 하나인 다이나믹프로그래밍(DP)으로 하겠습니다. 저도 취업을 하고 뒤늦게 알고리즘 공부를 시작한 경우여서 문제를 잘 풀거나 자세히 알지는 못하지만 기록으로 남기기 위해 글을 써 봅니다. Divide and conquer 다이나믹 프로그래밍이란 동적 프로그래밍, 동적 계획법등으로 불립니다. 기본적인 개념은 divide and conquer와 같습니다. 큰 문제를 작은 문제로 나누어 차례로 해결하는 방법입니다. Memoization 메모이제이션이란 앞에서 말한 분할정복을 통해 구한 값을 저장해 두고 계속 꺼내 쓰는 것을 의미합니다. 예시 피보나치 수열이 있습니다. 피보나치 수열의 공식은 F(N) = F(N-.. 더보기 로컬 java 프로세스를 jconsole로 모니터링 블로그를 처음 시작하면서 어떤 글을 쓸까 고민을 많이 하다가 오늘 있었던 일로 시작을 하려고 합니다. 개발을 하던 도중에 톰캣 로그에 아래와 같은 에러가 찍혔습니다. java.lang.OutOfMemoryError: Java heap space 검색을 해보니 java의 heap memory 사용률은 jconsole로 확인이 가능하다고 하여 사용법을 알아보았습니다. 1. 우선 현재 서버, 개인 PC에서 동작중인 java 프로세스의 pid가 필요합니다. Windows는 tasklist | findstr {java 프로세스명} 으로 해당 java 프로세스의 pid를 확인 할 수 있습니다. ex) tasklist | findstr java, tasklist | findstr Tomcat 2. jconsole -.. 더보기 이전 1 ··· 3 4 5 6 다음